클라우드 - Public, Private
https://blogs.msdn.microsoft.com/eva/?p=1363
http://d2.naver.com/helloworld/387756
Krane : Crane + Kakao
Open Stack based Private Cloud of Kakao
https://www.slideshare.net/openstack_kr/openstack-days-korea-2016-track1-5000vm
https://www.slideshare.net/songaal/paa-s-mesosmesosphere
cloud computing
클라우드는 분산 컴퓨팅 시스템을 지칭하는 말로, 전화망 또는 인터넷 망들을 도식화 했을 때
거대한 네트워크가 마치 구름모양처럼 보이는 것에서 유래된 용어이다.
클라우드 컴퓨팅이란 개념은 컴퓨팅 자원을 마치 공공 시설을 사용하는 것처럼 생각한 한 컴퓨터 과학자에게서 시작 되었다.
초기에는 SaaS에 집중되어 나타났지만 2000년대 초반 이후 PaaS, IaaS로 영역이 넓혀졌다.
SaaS, PaaS, IaaS는 Software Oriented Architecture인데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그 경계가 명확하지는 않다.
전체적인 서비스 환경을 도식화 해보면 이러한 모양이 나온다. 기존의 On-premised 환경으로 우리 센터도 이에 해당된다.
사용자가 직접 관리하는 영역에 따라 나뉘는데,
HW적인 부분(또는 OS 까지)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하는 것이 Infrastructure as a Service 이다.
Platform as a Service는 HW적인 것 부터 Middle ware 단 까지 관리해주는 형태이며, Software as a Service는 모든 계층을 서비스 해주는 형태를
말한다.
대표적인 예를 들면, IaaS는 KVM, Hyper-V, VMware ESXi 등 가상화 Hyperviser가 있고
SOA에서 HW는 기본적으로 가상화 형태로 제공되며 클라우드의 가장 큰 장점이며 존재 이유라 생각한다. 기존 On-premised 형식의
Legacy 시스템 보다 유연하게 Scaling이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컴퓨팅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. LXC (Linux Container)와 Docker도
중요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.
가상화라고 대부분 전가상화로, VM
또한 클라우드는 Cloud Service Provider 주체에 따라 크게 Private, Public, Hybrid로 나뉜다.
Public cloud와 private cloud의 가장 큰 차이점은,
-미터링 (과금)
-외부에서 API 통신을 통한 접근 여부
———————
오픈스택은 거대한 컴퓨팅 풀(컴퓨트 자원, 스토리지, 네트워크 등)
을 컨트롤하는 클라우드 운영체제이다.
웹 인터페이스 대쉬보드를 통해서 관리되는 각 서비스 들은 관리자를 통해
사용자들에게 공급되는 자원을 컨트롤된다.
horizon 또는 직접 API 호출을 통해 각 컴포넌트를 조작하는데 모든 과정에 keystone 인증 방식이 사용된다
오픈소스 기반 클라우드 운영체제
자체 구축 Infrastructure
Sensitive Data
Supporting Tools (Development / Deployment)
Components
-Horizon : Web interface dashboard
-Keystone : Identity Service. Authentication for log in to infrastructure and
authorization for identify rights to do or use a particular service.
-Nova : Compte
-Glance : Image storage
-Swift : Object storage
-Neutron : Network as a Service
-Cinder : block storage
-Heat : Ochestration
-Celometer : billing or metering kind of a service
IDC 등 오픈스택 대령 설치 시 사용하는 오픈소스 Chef, Puppet